반응형 딕셔너리2 [Python] 딕셔너리 (dict) method 활용 (feat. 반복문) 1. key, value 불러오기 1.1. get get()은 key를 통해 value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. 만약 존재하지 않는 key를 입력하면 'None'을 반환합니다. testDict = {'a':1, 'b':2, 'c':3, 'd':4, 'e':5, 6:'f'} print(testDict.get('d')) # 4 print(testDict.get('6')) # None print(testDict.get(6)) # f 1.2. pop, popitem pop()은 key를 이용해 value를 꺼내면서 해당 값을 삭제합니다. 만약 없는 key를 입력하면 KeyError가 발생합니다. testDict = {'a':1, 'b':2, 'c':3, 'd':4, 'e':5, 6:'f'} print(testDi.. 2022. 8. 5. 06:00 [Python] 딕셔너리 (dict) 기본 사용 방법 딕셔너리 (dict) 란? 딕셔너리는 파이썬의 자료형 중에 하나로 dictionary는 사전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. 뜻 그대로 dict 자료형은 사전처럼 키(key)와 값(value)이 쌍을 이루어 '대응 관계'를 나타냅니다. 이는 '연관 배열(accociative array)'라고도 합니다. 1. 선언 딕셔너리의 선언은 'dict()'나 중괄로를 사용합니다. 중괄호'{}'를 사용하면 선언과 동시에 값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. a = dict() b = {} c = {'test_char' : 'hello', 'test_int':365, 26.7:'test_float'} print('[type] a:{} / b:{} / c:{}'.format(type(a), type(b), type(c))) # [t.. 2022. 8. 4. 07:46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